Nice-Korean
소설과 그림, AI, 창작물 관련 이야기들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.

[유머] 이제는 일본에서 사라진 기괴한 풍습.jpg

과거 2차대전 전후부터 약 1980년대까지 일본 각지에서 전해져 내려왔다는 키묘나카멘(奇妙な仮面)이라는 풍습에 관한 이야기입니다.

[유머] 이제는 일본에서 사라진 기괴한 풍습.jpg

일본에는 2차대전 전후부터 약 1980년대 중반까지 기이한 풍습이 있었다. 바로 키묘나카멘(奇妙な仮面) 혹은 키묘나카오(奇妙な顔, '얼굴'이라는 뜻 으로 가오잡다 할 때 그 가오가 맞다)라는 풍습. 풍습 자체는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다. 주로 국민학교 입학 이전의 미취학 아동들에게 기이하게 생긴 가면을 씌우는 것. 전국적인 유행은 일본 패전 이후 1940년대 중후반부터 나타났으며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보통 9월 23일 추분의 날 축제 때 같이 이 루어졌다. 또한,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이전까지 각 마을 단위로 이루어졌다는 특징이 있다. 지금이야 도시화가 많이 진행됐지만 일본은 여전히 각 마을마다 지역색이 있는 편이기 때문에 마을마다 가면이 확연하게 차이났으며 현지인들은 가면만 보고도 마을을 구분할 수 있었다고 한다.
가면은 대체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도록 괴상하게 생긴 것들이 많았는데 일본 도호쿠 대학의 저명한 민속학자 기요미야 신타로(清宮新太郎)는 키 묘나카멘 문화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을 내놓는다. 1. 요괴 퇴치 기원: 요괴와 관한 설화가 많은 일본답게 아이들이 무섭게 생 긴 가면을 쓰고 다님으로써 요괴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기원한 것이다. 2. 영아 사망 억제: 보통 축제 때는 사람들이 많이 몰려 감염병이 돌기 쉬운 데 가면을 씌워 얼굴과 오염원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. 또한, 이 기간에 아이들을 깨끗하게 씻겨 초보적이지만 유의미한 위생을 확보했 다는 연구도 존재한다. 3. 서양문화 할로윈(Halloween)의 일본식 해석: 일본에 주둔한 미군들에 의해 할로윈 문화가 일본에게 전파된 것이다. 4. 해방감의 분출: 사회적 지위가 낮은 어린이들에게 주기적으로 해방감을 분출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.
이외에도 외지인들을 꺼리는 폐쇄적인 마을 성향의 발로라든지, 내전이 많이 일어난 역사적 배경에 따라 마을 구성원들을 단합하기 위해 만 들어졌다는 설, 아이들을 통해 미군에 대한 저항감이 표출된 것이라는 등 다양한 학설이 존 재한다. 하지만 시기적으로 일본 패전 이후에 등장했기 때문에 미국의 할로윈 문화 가 일본으로 전파된 후, 각 지역에 맞게 재해석된 것으로 보는게 중론이다.
이런 키묘나카멘 문화는 1980년대 이후 사라져 요즘은 거의 찾아볼 수 없 는데, 가면 자체가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줘서 자연스럽게 사라졌다는 설, 두번째로 도시화로 인해 마을 단위 경제 구조가 붕괴되며 해체됐다는 설, 세번째로 근대 의학의 보급에 따라 영아 사망률이 낮아졌다는 설 등이 있으 며, 네번째로 후기로 갈수록 화려한 가면을 만드는게 부의 척도로 인식이되며 문화가 변질되어 자발적으로 사라졌다는 설 등이 있다. 당연히 위에 언급한 이유들이 모두 타당하며,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확률이 높다
는 구라고 AI로 이미지 생성하고, 밑에 내용은 내가 그냥 쓴거. 진지하게 읽다가 개빡쳐서 퍼옴 시팔
미어캣은 속았습니다
또 속았습니다 미또속 짤방 밈
젠장 분하다! 짤방 밈